디지털 제품 여권(Digital Product Passport,DPP)은 2027년부터 지속가능한 제품을 위한 에코디자인 규제(ESPR)에 따라 유럽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에 의무화됩니다. 그중 패션·섬유 산업이 1순위 적용 대상입니다.
DPP는 소비자, 브랜드, 규제기관이 신뢰할 수 있는 제품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고, 전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글로벌 표준입니다.
원료와 생산, 유통, 사용, 폐기까지 제품의 모든 여정을 기록하고, 정품 인증·시험 성적서·환경 영향 데이터로 스토리를 완성합니다. QR·NFC 한 번의 스캔으로 고객과 바이어는 제품의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, 브랜드는 규제 준수와 신뢰 확보,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동시에 이룰 수 있습니다.
Tier별 설명
* Tier 4~0은 공급망 단계를 뜻하며, CARE ID는 정보 공개 범위를 이해하기 쉽게 DPP Level 1~5 체계로 제공합니다.
Tier 4 — 원자재 단계 (농장, 광산 등)
Tier 3 — 원료 가공 단계 (방적, 제직, 염색 등)
Tier 2 — 소재·부자재 단계 (원단, 트림 등)
Tier 1 — 완제품 생산 단계 (봉제, 조립 등)
Tier 0 — 최종 브랜드·리테일 단계 (판매, 유통 등)
DPP Level 05
이 제품은 Level 05 를 취득했습니다.
Score 100점
0
(Lv.1)
25
(Lv.2)
50
(Lv.3)
75
(Lv.4)
100
(Lv.5)
Level 1 — 식별 (Identification)
제품 ID, 제품명, 모델명, 카테고리, 브랜드명, 출시일
ESPR 단계: 1단계 간소화 DPP (2027–2029)
최소 필수 정보 요건 충족 (기본 제품 식별 데이터)
Level 2 — 특성 (Attributes)
사이즈, 색상, 중량, 시즌, 디자이너, 제품 라인, 사용 목적
ESPR 단계: 1단계 간소화 DPP (2027–2029)
소비자 친화적 설명 확장, 단순 공개 요구와 정합
Level 3 — 소재·성능 (Materials & Performance)
소재 혼용률, 인증 (GOTS, Oeko-Tex 등), 성능 지표, 탄소/물 발자국
ESPR 단계: 2단계 고급 DPP (2030~)
소재·지속가능성·내구성·환경 영향 공개 요건 반영
Level 4 — 규제·안전 (Compliance & Safety)
세탁/수선 지침, 화학물질 안전, 시험 성적서, 법적 인증 (CE, REACH, KC), ESPR 대응 여부
ESPR 단계: 2단계 고급 DPP (2030~)
안전성·유해물질·규제 준수 데이터와 연계
Level 5 — 순환·투명성 (Circularity & Transparency)
재사용/재활용 가능성, 수거·수리 프로그램, 공급망 추적, 블록체인 기록, QR/NFC 연동
ESPR 단계: 3단계 완전 순환형 DPP (2033~)
순환경제·공급망 투명성·완전 공개 달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