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원료 생산 (오가닉 코튼 재배)

물 소비량 계산

공식

물 소비량 (리터) = 원단 중량 (kg) × 원단당 물 발자국 (리터/kg)

오가닉 코튼 기준

7,000 – 9,000 L/kg

일반 면화 기준

10,000 – 15,000 L/kg

탄소배출량 계산

공식

CO₂ 배출량 (kg) = 원단 중량 (kg) × 배출계수 (kg CO₂/kg)

오가닉 코튼 평균 배출계수

약 1.8 kg CO₂/kg (1.5~2.5 범위)

2. 방적 (Yarn / Spinning)

공식

CO₂ 배출량 (kg) = 실 중량 (kg) × 방적 배출계수 (kg CO₂/kg)

인도 전력믹스 기준

0.5 – 0.7 kg CO₂/kg

3. 편직 (Fabric / Knitting)

공식

CO₂ 배출량 (kg) = 원단 중량 (kg) × 편직 배출계수 (kg CO₂/kg)

순환 편직 기준 배출계수

약 0.3 kg CO₂/kg

4. 염색 및 가공 (Natural Dyeing)

공식

CO₂ 배출량 (kg) = 원단 중량 (kg) × 염색 배출계수 (kg CO₂/kg)

수작업 염색 기준

0.1–0.2 kg CO₂/kg

물 소비량 계산

공식

물 소비량 (리터) = 원단 중량 (kg) × 염색공정 물 발자국 (리터/kg)

수작업 염색 기준

본 프로젝트의 경우 물 재사용이 이루어지므로 0에 수렴

참고문헌

Fraunhofer UMSICHT. (2018). Environmental assessment of natural dyes and dyeing techniques. Higg Index (2023). Dyeing and finishing module.

5. 운송 (Transportation)

운송 정보

인도 -> 한국

공식

CO₂ 배출량 (kg) = 제품 중량 (kg) × 운송 배출계수 (kg CO₂/kg)

해상운송 기준

1.1 – 1.4 kg CO₂/kg

항공운송 기준

해상 운송의 최대 5배 이상 증가

6. 봉제 및 조립 (Sewing and assembly)

공식

CO₂ 배출량 (kg) = 제품 중량 (kg) × 봉제 배출계수 (kg CO₂/kg)

국내 전기 기반 소규모 봉제 기준

0.1 – 0.2 kg CO₂/kg

참고문헌

Higg MSI / OpenLCA 데이터셋, 한국 제조 전력 기준

7. 부자재 Component (Label, NFC 등)

공식

CO₂ 배출량 (kg) = 예상 부품 배출량 (kg CO₂)

생분해성 라벨 (1.5g)

<0.01 kg CO₂

NFC 태그 (PET, 알루미늄, 실리콘)

0.05 – 0.07 kg CO₂

참고문헌

Fraunhofer ICT. (2019). LCA of smart tags and digital components.